CBDC 글로벌 동향 한눈에 보기 – 주요국 사례와 흐름

중앙은행 디지털화폐(CBDC)의 글로벌 트렌드, 

왜 중요한가?

이 인포그래픽은 CBDC(중앙은행 디지털화폐)의 글로벌 동향을 한국, 유럽, 미국을 중심으로 비교 분석한 것입니다. 젠스파크 딥리서치, 추후 클로드로 시각화해 보았습니다. 

나눔고딕으로 작성하고 SVG로 받았는데, PPT에서 폰트는 다시 조정하였습니다. 


클로드 시각화 프롬프트는 아래를 참고하세요. 

[그래픽기본 원칙] AI가 생성하는 시각 자료, 일관된 디자인과 색상 사용 - 와이드스크린(16:9, 1280x720 권장) 그래픽 레코딩 스타일 인포그래픽 변환 프롬프트 가로 PPT형식 폰트 ( 나눔고딕 )



크게 눌러보면 화질이 좋아집니다


  1. 각국 CBDC 도입 진행 상황
    • 한국: 디지털원화 2단계 시범사업 (2023년 말~2024년 5월 30일)
    • 유럽: 디지털 유로 법안 채택 진행 중 (채택 기한: 2024년 3분기~12월)
    • 미국: 디지털 달러 화이트페이퍼 발표 (2023년 10월 15일)

  2. CBDC 기술 설계 및 인프라
    • 한국: 3계층 구조(중앙은행-상업은행-사용자), 블록체인 기반 보안
    • 유럽: DLT 기술 기반, 하이브리드 DLT 모델 제안
    • 미국: AES-256/RSA 암호화, 허가형 블록체인 네트워크

  3. 사회적 반발 및 논란
    • 유럽: CBDC 반대 시위(약 12,000명), 반대 청원(약 30,000명)
    • 한국: 개인정보 유출 주장(외부 유출 사례 없음 확인)
    • 미국: 신용감시 시스템 반대(약 67.3% 반대 의견)

  4. 대안 기술 제안
    • 영지식증명(ZKP): 유럽에서 2024년 도입 계획, 개인정보 보호 강화
    • 부분익명성 알고리즘: 한국에서 연구 중, 최소한의 필수 정보만 노출
    • 하이브리드 DLT 모델: 유럽에서 제안, 공공-민간 부문 결합 모델

  5. 종합 결론
    • CBDC는 단순 기술 혁신을 넘어 금융 시스템 전반의 신뢰성, 사용자 보호, 개인정보 보호 등 다각도의 고려가 필요함
    • 각국은 자국의 사회적·제도적 환경에 맞는 CBDC 운영 방안을 모색 중
    • 앞으로 더 심도 있는 연구와 협력을 통한 기술적 결함 보완 및 제도적 안정성 확보 필요




살아남기를 위한 정보 모음 

댓글 쓰기

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