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차드 캘런드 : 트럼프 관세 혼돈은 계산된 전략이다 발언 요약

트럼프의 관세 전략과 세계 질서 재편 계획: 요약

트럼프의 관세 전략과 세계 질서 재편 계획 요약




Richard Calland 정치분석가의 X 글을 번역한 글을 보게 됐고, 클로드로 한 장 정리해 보았다. 

원본은 이곳에서 전문보기 (X 로그인을 해야 전체 보기가능)

한국어 번역은 여기 참고


1. 관세는 혼돈이 아닌 계산된 전략

  • 트럼프의 관세 정책은 충동적 조치가 아닌 글로벌 경제 질서를 재편하기 위한 '지렛대'
  • 스콧 베센트(재무장관 지명자): "관세는 세계 경제 질서를 재조정하기 위한 서막"

2. 역사적 전례가 있는 접근법

  • 1944년 브레튼우즈 체제: 달러를 세계 기축통화로 지정
  • 1985년 플라자 합의: 달러 가치 조정으로 미국 제조업 경쟁력 회복
  • 2025년 '마라라고 협정': 트럼프의 제3차 글로벌 리셋 시도

3. 미국 탈산업화 문제

  • 제조업 비중: 1953년 GDP의 28% → 2024년 10.7%로 감소
  • 1980년 이후 750만 개 이상의 제조업 일자리 상실
  • "산업이 없으면 전략적 자율성도 없다 → 국력 쇠퇴"

4. 트럼프의 3단계 글로벌 체제

  • 녹색 국가들: 미국 시장 완전 접근, 낮은 관세, 군사 보호
  • 노란 국가들: 케이스 바이 케이스 협상, 비용 부담
  • 빨간 국가들: 고율 관세, 군사 지원 없음, 달러 혜택 없음

5. 트럼프의 전략 실행 단계

  1. 관세 혼돈: 전 세계 10% 일괄 관세, 중국 54%, EU 20%, 인도 26% 등 맞춤형 인상
  2. 상호 관세: "단기 고통, 장기 권력" 전략으로 미국 시장을 무기화
  3. 마라라고 협정: 달러 연동, 안보 비용 지불, 통화 강세 허용 등 조건부 신질서

6. 최종 목표

  • 2030년까지 미국 제조업 비중을 GDP의 15%로 회복
  • 달러의 글로벌 기축통화 점유율 60% 이상 유지
  • 미국 주도의 '그린 블록' 형성 (전 세계 GDP의 40%)

7. 잠재적 위험

  • 국제 신뢰 상실과 협력 체계 붕괴 가능성
  • 관세로 인한 인플레이션과 경기침체 가능성 (JP모건: 2025년 4Q 경기침체 확률 60%)

트럼프의 관세 정책은 단순한 무역 정책이 아닌 "브레튼우즈 체제 + 아마존 프라임 + 냉전 2.0"이 결합된 새로운 세계 질서 구축 시도입니다.



그 외 뉴스 

https://edition.cnn.com/2025/04/07/politics/trump-bessent-tariff-message/index.html

https://biz.sbs.co.kr/article/20000228123

https://www.yna.co.kr/view/AKR20250304062000009


#트럼프경제정책 #마라라고협정 #글로벌경제재편 #관세전쟁 #미중무역갈등 #경제민족주의 #재산업화 #달러패권 #세계무역질서 #신브레튼우즈 #미국제조업 #미국우선주의 #MAGA경제 #상호관세 #탈산업화 #글로벌공급망 #산업포위전 #경제전략 #트럼프2기 #국제경제



댓글 쓰기

0 댓글